당뇨병에 걸리면 갑자기 살이 빠진다는데.
올해 통풍이 오면서 몸에 대해 관심이 점점 많아지고 있습니다. 고도 비만인 저로서는 당뇨와 고 지열증 등 성인병에 대해 알아야 될 것 같은데요 오늘은 당뇨병에 걸리면 갑자기 살이 빠진다고 하는데 그 이유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당뇨 환자들이 살이 빠지는 이유
2.살이 빠질 때 당뇨로 인한 것인지 아닌지 확인
3. 당뇨 환자들의 체중 조절의 어려움
4. 마무리
1. 당뇨 환자들이 살이 빠지는 이유
당뇨병 환자분들은 당뇨병에 걸리고 나면 심하게 살이 빠져서 보기에 좋지 않아서 힘들다는 이야기들이 있습니다. 사람이 식사를 하게 되면 본인이 사용할 만큼만 식사를 하는 것이 아니라, 기본적으로 우리 몸을 유지시켜야 되기 때문에 먹은 음식을 소화시켜서 에너지로 쓰고, 남는 것들은 유사시 본능적으로 대비하기 위해 근육 또는 지방에 어느 정도 에너지를 축적하게 됩니다. 당뇨병 환자분들은 흡수한 음식을 에너지화시켜 사용하지 못합니다. 그러다 보니 환자 본인은 분명히 음식을 먹었지만 혈관에는 에너지원이 각 세포 별로 갈 준비등이 돼었는데 흡수를 제대로 못해, 몸에서 미리 준비한 근육 또는 지방에 축적해 놓은 에너지 연료들을 모두 분해해서 사용하게 됩니다. 그러다 보니 결국에는 우리 체중의 대부분을 이루게 되는 지방이나 근육이 빠지면서 체중이 빠지게 되 살이 빠지게 됩니다. 경우에 따라 수개월 만에 10kg 이상 체중 감량이 되는 경우도 있습니다. 살이 급격하게 빠지면 몸에 무리가오며, 일반적으로 살이 빠지는 다이어트를 원하는 분들은 괜찮겠지만, 당뇨병으로 인하여 살이 빠지면 삶이 힘들어질 것 같습니다.
2. 살이 빠질 때 당뇨로 인한 것인지 아닌지 확인
내과 전공하시는 의사 선생님 분들이 환자들이 체중이 빠진다는 이야기를 들으면 일단 많은 걱정을 하며 무서워한다고 합니다. 원인으로는 우선 악성 암이 아닌 거를 우선적으로 생각하게 되며 환자의 모습만 보고 원인을 판단하는 것은 굉장히 어려운 일이기 때문입니다. 정확하게 환자가 왜 체중감소가 나타났는지 알아보기 위해 혈액검사, 위내시경, 대장내시경, 복부초음파, 그리고 흉부 엑스레이와 복부 엑스레이까지 촬영을 하여 다각도로 가능성이 있는 원인을 체크해 보는 것이 중요합니다. 만약 당뇨 환자분들 같은 경우는 당뇨 검사의 한 종류인 당화혈색소 검사를 하는 것이 원인을 규명하는데 큰 도움이 됩니다. 만약 당뇨 환자분들이 당화혈색소 검사 시 결과를 보게 되면 당뇨에 의한 체중감소인지 여부를 바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3. 당뇨 환자들의 체중 조절의 어려움
당뇨병 환자분들이 살이 빠지는 경우가 많으며 체중 조절을 하기가 쉽지 않습니다. 일반적으로 과체중이나 비만 환자들 경우 경우 과도한 지방세포들이 정상을 넘어서는 단계에서는 당조절을 위해 인슐린이라는 호르몬이 작용하여 당을 흡수시켜야 되는데, 인슐린이 작용을 제대로 하지 못하도록 기능을 떨어트리는 인슐린 불감증을 만들게 됩니다. 그래서 체중이 많이 나가면 그로 인해 당뇨병이 생기기도 하지만, 당뇨가 진단되고 나서 약물 복용이나 인슐린 주사 치료를 진행한다 하더라도 적절한 체중관리가 되지 않으면 조절이 잘 안 될 수가 있습니다. 뿐만 아니라 과도한 체중이 나가게 되면, 당뇨 이외에도 고혈압, 고지혈증을 유발해 당뇨와 함께 혈관 내 찌꺼기가 끼게 되는 동맥경화 현상을 유발하고 장지적으로 뇌경색이라든지 심근경색의 원인이 될 수가 있습니다.
4. 마무리
이번에는 당뇨병 환자들이 왜 갑자기 살이 빠지는지 그 이유에 대하여 알아보았습니다. 알아볼수록 절망적이며 한 가지로 귀결됩니다. 살을 베고 표준의 몸무게를 만드는 것입니다. 저와 같은 비만인들은 글을 잘 읽으시고 저 범위를 피해 갈 수 있도록 준비를 해야 될 것입니다.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건강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모바일 운전 면허증의 모든 것 금융분야 공공분야 (0) | 2022.07.31 |
---|---|
만병의 근원 내장지방 오렌지 하나로 쉽게 빼기 (0) | 2022.07.30 |
통풍 병에 대한 궁금증과 음식 조절로 치료 될 수 있는 통풍에 대해서 (0) | 2022.07.27 |
40년간 꾸준히 증가하는 사망률 1위 암에 대하여 (0) | 2022.07.26 |
통풍 환자들의 요산 수치 떨어뜨리는 어려운 방법부터 쉬운 방법까지 (0) | 2022.07.22 |